🌍 이 글은 [지구환경 시리즈] 11편입니다.
1.5도의 경고 지구의 한계선을 넘어서고 있다.
우리는 지금, 가장 위험한 경고음을 듣고 있다. 2024년, 지구의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1.6도 상승했습니다.
이는 인류가 오랫동안 피하고자 했던 1.5도 상승 경계선을 최초로 돌파했다는 뜻입니다. 이 경고는 단순한 수치가 아닙니다. 기후 과학자들이 말하는 "지구 시스템의 임계점"이 실제로 무너지고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1. 왜 1.5도가 중요한가?
"1.5도? 겨우 그 정도 상승 아닌가요?" 이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기후학적으로 1.5°C는 상징적이고도 과학적인 경계선입니다.
국제 기후기구(IPCC)는 이렇게 경고합니다:
- 1.5도 상승 시: 해수면 상승, 북극 해빙 감소, 생물 다양성 급감, 폭염 증가
- 2도 이상 상승 시: 폭우, 산불, 식량난, 기후 난민 폭증, 대규모 생태계 붕괴
즉, 1.5도는 지구 생존을 위한 마지막 방어선인 셈입니다.
2. 실제로 1.5도를 넘은 2024년
기상학자들은 2024년을 이렇게 평가합니다:
“기록상 가장 더운 해이자, 지구 기온이 사상 최초로 1.5도 상승한 해”
NOAA, NASA, 유럽기후기구(Copernicus) 등 주요 기관들이 모두 이를 공식화했습니다.
엘니뇨 현상까지 겹치며, 폭염과 산불, 이상기후는 더 심각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 캐나다: 역사상 최악의 산불 시즌, 18만㎢ 소실
- 인도: 50도에 육박하는 폭염, 수천 명 사망
- 남극: 해빙량 역대 최저치 기록
이는 단발성 재해가 아닌, 기후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를 보여줍니다.
3. 임계점(Tipping Point), 무엇이 무너지나?
지구에는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라 불리는 돌이킬 수 없는 변화 지점이 존재합니다.
그 중 일부는 이미 진행 중이라는 연구도 있습니다:
- 그린란드 빙하 붕괴: 해수면 수십 cm 상승 위험
- 아마존 열대우림 사막화: 산소 생산과 탄소 흡수 기능 상실
- 북극 해빙 소멸: 지구 반사율 감소 → 온도 급상승 가속
1.5도는 단순한 경고가 아니라, 지구가 스스로를 되돌릴 수 없는 지점으로 들어서는 문턱입니다.
4.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
지구는 이미 경고했다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요?
- 탄소 배출 즉시 감축
- 석탄·석유 의존 줄이고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 개인은 자동차 대신 대중교통, 육식 줄이기 등 실천
- 기후 정의 실현
- 개도국이 피해를 덜 입도록 선진국의 기후 재정 확대
- 탄소중립 조기 달성
- 각국은 2050년이 아니라, 2035년까지 Net Zero 전략 추진 필요
5. 결론: 1.5도는 숫자가 아닌, ‘마지노선’이다
우리는 지금 기후 붕괴의 입구에 서 있습니다. 1.5도는 넘은 순간 끝이 아니라,
우리가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달라질 수 있는 변곡점입니다.
📣 지구의 경고를 듣고,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늦습니다. 당신의 선택이, 미래를 바꿉니다.
10편 :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국제 협약과 전 세계의 움직임
10편 :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국제 협약과 전 세계의 움직임
🌍 이 글은 [지구환경 시리즈] 10편 입니다.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국제 협약과 전 세계의 움직임.2025년, 전 인류는 어디까지 왔을까? 기후 위기는 더 이상 미래의 가능성이 아닌 현재 진행형의
dwdslee.com